반응형
“그건 하청 책임 아닌가요?”
과거엔 통했지만 이제는 통하지 않는 말입니다.
중대재해처벌법 이후, 원청도 하청의 안전까지 책임지는 시대가 본격적으로 열렸습니다.
📌 왜 하청 관리가 원청의 책임인가?
하청업체 근로자가 사망하거나 다치는 사고가 났을 때,
**원청(도급인)**이 다음과 같은 사유에 해당하면 형사처벌 대상이 됩니다.
- 산업안전보건법 제63조: 도급인의 안전·보건조치 의무
- 중대재해처벌법: 원청 경영책임자가 하청 안전관리체계 구축에 소홀할 경우 처벌
👉 단순 계약관계가 아니라, 실제 작업 지휘·감독 여부가 핵심입니다.
⚖️ 법적 근거 요약
법령조항주요 내용
산업안전보건법 | 제63조 | 도급인이 하청 근로자의 안전 확보 조치 의무 |
중대재해처벌법 | 제4조 | 경영책임자는 도급·용역 등 근로자의 안전까지 관리해야 함 |
🧑⚖️ 실제 처벌 사례
✅ 사례 1. 고소작업대 추락 (2023, 창원지법)
- 하청업체 소속 근로자 1명 사망
- 원청 대표이사에게 징역 1년 실형
- 이유: 하청에만 맡기고 안전점검 미이행
✅ 사례 2. 물류창고 지게차 사고 (2024, 서울남부지법)
- 하청 지게차 기사 사망
- 원청에게 업무상과실치사 유죄
- 이유: 작업구역 위험요소 방치
🛠️ 하청업체 관리 의무 체크리스트
항목점검 내용완료 여부
계약 단계 | 하청 계약서에 안전관리 의무 포함 | ☐ |
교육 | 하청 근로자 대상 정기 안전교육 | ☐ |
작업 전 점검 | 하청 작업장의 위험요소 사전 제거 | ☐ |
보호장비 | PPE(헬멧, 안전화 등) 지급 여부 확인 | ☐ |
책임 주체 명확화 | 하청 작업 시 원청 감독자 지정 | ☐ |
사고 대응 | 사고 발생 시 보고·기록·재발방지 조치 체계 | ☐ |
💬 자주 묻는 질문 (FAQ)
Q1. 하청 업체가 알아서 안전조치 안 하면 원청이 처벌되나요?
👉 네. 원청이 사전에 관리·감독 의무를 다하지 않았다면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Q2. CCTV나 작업일지만 있어도 면책되나요?
👉 불충분합니다. 정기 점검 기록, 교육자료, 지시문서 등이 함께 있어야 합니다.
📣 결론: 하청의 안전은 ‘남 일’이 아니다
하청 근로자의 생명도 원청이 지켜야 합니다.
법은 계약서보다 현장의 실질적 관리 여부를 기준으로 책임을 묻습니다.
“우리는 지시만 했다”는 변명은 더 이상 통하지 않습니다.
하청 관리, 지금 점검하세요.
반응형
'A' 카테고리의 다른 글
👮♂️ 근로감독관, 나를 지켜주는 노동법 수호자|임금체불·퇴직금 미지급 해결법 (0) | 2025.05.24 |
---|---|
경영책임자 처벌 수위 총정리|중대재해 실제 판례 공개 (0) | 2025.05.24 |
중대재해처벌법 양형 기준 총정리|실형과 집행유예의 차이는? (0) | 2025.05.23 |
혈중 비타민D 농도 측정이란? 언제 검사하면 좋을까? (1) | 2025.05.22 |
비타민, 꼭 챙겨야 할까요? (0) | 2025.05.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