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 2022년 1월 시행된 중대재해처벌법, 이제 기업과 경영책임자에게 더 이상 '사고는 어쩔 수 없다'는 변명은 통하지 않습니다. 실제로 최근 징역형 선고 사례도 늘고 있어, 양형 기준에 대한 이해는 필수입니다.
📌 중대재해처벌법이란?
중대재해처벌법은 근로자가 사망하거나 중대한 부상을 입은 경우, 사업주 또는 경영책임자에게 형사 책임을 부과하는 법입니다.
- 시행일: 2022. 1. 27.
- 적용 대상: 상시근로자 50인 이상 사업장 → 2024년부터는 5인 이상으로 확대
- 대상 사고: 사망 1명 이상, 동일 사고로 부상 2명 이상, 직업성 질병자 3명 이상
⚖️ 중대재해처벌법 양형 기준은?
대상 법정형실제 선고 동향
경영책임자(개인) | 징역 1년 이상 또는 10억 이하 벌금 | 실형 1 |
법인(회사) | 50억 이하 벌금 | 벌금형 1억~10억 내외 |
💬 양형기준은 명확하게 법으로 규정되어 있지 않지만, 법원은 최근 다음 기준들을 종합적으로 고려하고 있습니다.
⚠️ 실제 판례에서 본 양형 요소
① 불리한 요인
- 과거 산업안전보건법 위반 이력
- 반복적인 안전관리 부실
- 사고 직전 위험요인 방치
- 유족과의 합의 실패
② 유리한 요인
- 사고 발생 즉시 안전대책 개선
- 유족과의 원만한 합의
- 업무 특성상 안전 확보가 어려운 업종
- 안전교육, 장비 보완 등 평소 노력
🧑⚖️ 실형 사례 vs 집행유예 사례 비교
사건판결주요 사유
2024 울산 화학공장 폭발 | 징역 2년 (실형) | 반복된 안전지적 무시 |
2023 경기 물류센터 사망 | 징역 1년 6월, 집유 2년 | 유족 합의 + 개선 노력 |
💡 실형은 예외적인 경우지만, 경영진이 ‘지시만 했을 뿐’이라는 소극적 입장은 점점 받아들여지지 않고 있습니다.
📎 안전보건 책임자의 체크리스트
- ✔️ 위험요인 사전조사 및 개선
- ✔️ 정기 안전교육 실시 증빙 확보
- ✔️ 하청 근로자 포함한 전체 관리
- ✔️ 사고 발생 시 조치 및 기록 의무 이행
🔍 중대재해처벌법, 예방이 최선의 대응이다
"사후 수습"이 아닌, "사전 예방"이 중대재해처벌법에서 가장 중요한 전략입니다. 경영책임자는 스스로 안전보건체계 구축에 관여하고, 실제 이행 여부까지 점검해야 책임을 면할 수 있습니다.
📢 함께 보면 좋은 포스팅
- 👉 [산업안전보건법 vs 중대재해처벌법 차이점]
- 👉 [사망사고 발생 시 회사가 해야 할 첫 조치]
- 👉 [기업 안전관리 시스템 구축 가이드]
반응형
'A'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경영책임자 처벌 수위 총정리|중대재해 실제 판례 공개 (0) | 2025.05.24 |
---|---|
하청업체 관리 의무, 어디까지?|중대재해 막는 실무 가이드 (0) | 2025.05.23 |
혈중 비타민D 농도 측정이란? 언제 검사하면 좋을까? (1) | 2025.05.22 |
비타민, 꼭 챙겨야 할까요? (0) | 2025.05.22 |
비타민D, 햇빛만 쬐면 충분할까? "하루 10분 햇빛? NO! 제대로 챙기는 법 알려드림" (0) | 2025.05.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