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하청업체 관리 의무2

경영책임자 처벌 수위 총정리|중대재해 실제 판례 공개 “사고가 나면 누구 책임일까?”이제 그 답은 명확해졌습니다. 중대재해처벌법 시행 이후, 대표이사와 경영책임자도 실형을 선고받는 사례가 증가하고 있습니다. 📌 중대재해처벌법이란?중대산업재해 또는 중대시민재해가 발생했을 때, 사업주나 경영책임자가 적절한 안전조치를 하지 않았다면 형사처벌을 받게 됩니다.시행일: 2022년 1월 27일적용 대상: 상시근로자 50인 이상 → 2024년부터 5인 이상 확대처벌대상자: 대표이사, 본부장, 실질적 의사결정권자 ⚖️ 경영책임자 처벌 수위 요약구분법정형실제 선고 예개인(경영책임자)징역 1년 이상 또는 벌금 10억 원 이하실형 12년, 집행유예 23년법인(회사)벌금 50억 원 이하벌금형 1억~10억 내외 🧑‍⚖️ 중대재해처벌법 실제 판례✅ 실형 사례2024년 4.. 2025. 5. 24.
하청업체 관리 의무, 어디까지?|중대재해 막는 실무 가이드 “그건 하청 책임 아닌가요?”과거엔 통했지만 이제는 통하지 않는 말입니다.중대재해처벌법 이후, 원청도 하청의 안전까지 책임지는 시대가 본격적으로 열렸습니다. 📌 왜 하청 관리가 원청의 책임인가?하청업체 근로자가 사망하거나 다치는 사고가 났을 때,**원청(도급인)**이 다음과 같은 사유에 해당하면 형사처벌 대상이 됩니다.산업안전보건법 제63조: 도급인의 안전·보건조치 의무중대재해처벌법: 원청 경영책임자가 하청 안전관리체계 구축에 소홀할 경우 처벌👉 단순 계약관계가 아니라, 실제 작업 지휘·감독 여부가 핵심입니다. ⚖️ 법적 근거 요약법령조항주요 내용산업안전보건법제63조도급인이 하청 근로자의 안전 확보 조치 의무중대재해처벌법제4조경영책임자는 도급·용역 등 근로자의 안전까지 관리해야 함 🧑‍⚖️ 실.. 2025. 5. 23.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