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A

강요죄란 무엇인가요? – 쉽게 정리한 강요죄 이야기

by 앤디코 2025. 4. 26.
반응형

 

강요죄란?

강요죄는 폭행 또는 협박을 통해 상대방이 원하지 않는 일을 하게 하거나,
원하는 일을 못 하게 만들었을 때 성립하는 범죄입니다.
형법 제324조에 규정되어 있으며, 상대방의 자유로운 의사결정을 침해하는 것이 핵심입니다.


강요죄 성립 요건

강요죄가 성립하려면 세 가지 조건이 필요합니다:

  1. 폭행 또는 협박이 있어야 합니다.
    (단순한 무례함이나 무언의 압박은 해당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2. 상대방의 자유를 제한하거나 침해해야 합니다.
    (스스로의 선택을 포기하게 만드는 강한 압박)
  3. 행위 강요 또는 방해가 이루어져야 합니다.
    (무언가를 하게 하거나, 하지 못하게 해야 합니다.)

예시로 보는 강요죄

  • 직장에서 상사가 "퇴사하지 않으면 괴롭히겠다"고 협박하는 경우
  • 친구가 돈을 빌려주지 않으면 나쁜 소문을 퍼뜨리겠다고 위협하는 경우
  • 타인을 협박해 특정 서류에 서명하게 만든 경우

이처럼, 실제 행동을 하게 하거나 못 하게 만들면서 폭행이나 협박이 수반되면 강요죄가 성립합니다.


강요죄의 처벌

  • 5년 이하 징역 또는
  • 3천만 원 이하 벌금에 처해질 수 있습니다.
    (상황에 따라 형량은 달라질 수 있어요.)

알아두면 좋은 추가사항

  • 폭행이 실제 상해를 일으키지 않아도 강요죄가 성립할 수 있습니다.
  • 협박은 구체적으로 "생명의 위협"까지 필요하지 않으며, "겁을 먹을 정도"의 강한 압박이면 충분합니다.
  • 형사고소를 통해 피해자가 직접 처벌을 요구할 수도 있습니다.

실제 판례1.

대법원 2014도5484 판결

사건 내용

  • 회사 대표 A씨가 직원 B씨에게 "퇴사하지 않으면 인사 불이익을 주겠다"고 협박.
  • 실제로 업무 배제, 직장 내 따돌림, 부당한 전보 발령 등 압박을 가함.
  • B씨는 결국 퇴사서를 제출했음.

법원의 판단

  • A씨의 행위는 퇴사를 강요하기 위한 협박과 정신적 폭력으로 인정됨.
  • 강요죄가 성립한다고 판결.
  • 징역 6개월, 집행유예 2년 선고.

🔵 법원의 핵심 판단:
퇴사 강요는 단순한 인사권 행사가 아니라, 자유로운 퇴직 의사를 침해한 협박에 해당한다고 봄.

 


 

실제 판례2.

대법원 2013도12506 판결

사건 내용

  • 피고인은 피해자에게 "빚을 갚지 않으면 성폭행 혐의로 허위 고소하겠다"고 협박함.
  • 피해자는 억울하지만 무서워서 금전을 지급함.

법원의 판단

  • 허위 사실로 고소할 것이라는 협박 자체로도 상대방의 자유를 침해했다고 봄.
  • 강요죄뿐만 아니라 공갈미수죄까지 인정됨.
  • 징역 1년 6개월 선고.

🔵 법원의 핵심 판단:
허위 고소 위협도 강요죄 협박 요건에 충분히 해당한다고 명확히 인정.


 

실제 판례3.

서울남부지법 2020고단2331 판결

사건 내용

  • 팀장이 팀원에게 매일 야근을 강요하고, 개인적인 심부름(식사 주문, 운전)을 협박하여 시킴.
  • 팀원이 거절할 경우 인사평가에 불이익을 주겠다고 위협.

법원의 판단

  • 업무 외적인 사항(개인 심부름)을 협박하여 강요한 것은 명백한 강요죄.
  • 단순한 직장 내 상하관계가 아니라, 강압적 지시로서 범죄 성립.
  • 벌금형 300만 원 선고.

🔵 법원의 핵심 판단:
직장 내 위력 관계를 이용하여 부당한 사적 요구를 한 것도 강요죄로 본다.


✨ 요약

사건내용결과
퇴사 강요 퇴사 강요 협박 징역 6개월, 집행유예
허위고소 협박 빚 독촉 + 허위 고소 협박 징역 1년 6개월
직장 내 괴롭힘 개인 심부름 강요 벌금 300만 원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