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강요죄란?
강요죄는 폭행 또는 협박을 통해 상대방이 원하지 않는 일을 하게 하거나,
원하는 일을 못 하게 만들었을 때 성립하는 범죄입니다.
형법 제324조에 규정되어 있으며, 상대방의 자유로운 의사결정을 침해하는 것이 핵심입니다.
강요죄 성립 요건
강요죄가 성립하려면 세 가지 조건이 필요합니다:
- 폭행 또는 협박이 있어야 합니다.
(단순한 무례함이나 무언의 압박은 해당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 상대방의 자유를 제한하거나 침해해야 합니다.
(스스로의 선택을 포기하게 만드는 강한 압박) - 행위 강요 또는 방해가 이루어져야 합니다.
(무언가를 하게 하거나, 하지 못하게 해야 합니다.)
예시로 보는 강요죄
- 직장에서 상사가 "퇴사하지 않으면 괴롭히겠다"고 협박하는 경우
- 친구가 돈을 빌려주지 않으면 나쁜 소문을 퍼뜨리겠다고 위협하는 경우
- 타인을 협박해 특정 서류에 서명하게 만든 경우
이처럼, 실제 행동을 하게 하거나 못 하게 만들면서 폭행이나 협박이 수반되면 강요죄가 성립합니다.
강요죄의 처벌
- 5년 이하 징역 또는
- 3천만 원 이하 벌금에 처해질 수 있습니다.
(상황에 따라 형량은 달라질 수 있어요.)
알아두면 좋은 추가사항
- 폭행이 실제 상해를 일으키지 않아도 강요죄가 성립할 수 있습니다.
- 협박은 구체적으로 "생명의 위협"까지 필요하지 않으며, "겁을 먹을 정도"의 강한 압박이면 충분합니다.
- 형사고소를 통해 피해자가 직접 처벌을 요구할 수도 있습니다.
실제 판례1.
대법원 2014도5484 판결
사건 내용
- 회사 대표 A씨가 직원 B씨에게 "퇴사하지 않으면 인사 불이익을 주겠다"고 협박.
- 실제로 업무 배제, 직장 내 따돌림, 부당한 전보 발령 등 압박을 가함.
- B씨는 결국 퇴사서를 제출했음.
법원의 판단
- A씨의 행위는 퇴사를 강요하기 위한 협박과 정신적 폭력으로 인정됨.
- 강요죄가 성립한다고 판결.
- 징역 6개월, 집행유예 2년 선고.
🔵 법원의 핵심 판단:
퇴사 강요는 단순한 인사권 행사가 아니라, 자유로운 퇴직 의사를 침해한 협박에 해당한다고 봄.
실제 판례2.
대법원 2013도12506 판결
사건 내용
- 피고인은 피해자에게 "빚을 갚지 않으면 성폭행 혐의로 허위 고소하겠다"고 협박함.
- 피해자는 억울하지만 무서워서 금전을 지급함.
법원의 판단
- 허위 사실로 고소할 것이라는 협박 자체로도 상대방의 자유를 침해했다고 봄.
- 강요죄뿐만 아니라 공갈미수죄까지 인정됨.
- 징역 1년 6개월 선고.
🔵 법원의 핵심 판단:
허위 고소 위협도 강요죄 협박 요건에 충분히 해당한다고 명확히 인정.
실제 판례3.
서울남부지법 2020고단2331 판결
사건 내용
- 팀장이 팀원에게 매일 야근을 강요하고, 개인적인 심부름(식사 주문, 운전)을 협박하여 시킴.
- 팀원이 거절할 경우 인사평가에 불이익을 주겠다고 위협.
법원의 판단
- 업무 외적인 사항(개인 심부름)을 협박하여 강요한 것은 명백한 강요죄.
- 단순한 직장 내 상하관계가 아니라, 강압적 지시로서 범죄 성립.
- 벌금형 300만 원 선고.
🔵 법원의 핵심 판단:
직장 내 위력 관계를 이용하여 부당한 사적 요구를 한 것도 강요죄로 본다.
✨ 요약
사건내용결과
퇴사 강요 | 퇴사 강요 협박 | 징역 6개월, 집행유예 |
허위고소 협박 | 빚 독촉 + 허위 고소 협박 | 징역 1년 6개월 |
직장 내 괴롭힘 | 개인 심부름 강요 | 벌금 300만 원 |
반응형
'A' 카테고리의 다른 글
대기업 갑질, 가장 흔한 사례와 그 이면 (0) | 2025.04.27 |
---|---|
갑질 논란을 피하기 위해 조심해야 할 발주 실무 포인트 (0) | 2025.04.27 |
일산 원당 대곡 엘로우 마운틴 카페 리뷰 아이랑 (0) | 2025.04.26 |
😨 "그 말, 협박일까?" – 협박죄의 기준과 대처법 정리 (0) | 2025.04.25 |
삼성역 코엑스 2025 월드IT쇼 화재 대비 불 위치 장소 (0) | 2025.04.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