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상에서 누군가의 말이나 행동이 무섭게 느껴진 적 있으신가요? 혹은 화난 상태에서 무심코 한 말이 협박죄로 처벌될 수 있다는 사실, 알고 계셨나요?
이번 글에서는 협박죄란 무엇인지, 어떤 말이나 행동이 법적으로 협박에 해당하는지, 그리고 협박을 당했을 때의 대처법까지 꼼꼼히 알려드릴게요.
📌 협박죄란?
형법 제283조에 따르면,
"사람을 협박한 자는 3년 이하의 징역, 500만 원 이하의 벌금, 구류 또는 과료에 처한다."
여기서 협박이란 단순히 기분 나쁜 말이 아니라, 상대방이 공포심을 느낄 만큼 해를 가하겠다는 의사표시를 말합니다.
⚖️ 협박죄의 성립 요건
- 해악의 고지
→ “죽여버리겠다”, “회사 다니기 힘들게 해주겠다” 등의 말로 상대방에게 해를 끼치겠다는 의사 표현이 있어야 합니다. - 상대방의 공포심 유발
→ 듣는 사람이 현실적으로 두려움을 느껴야 협박죄가 성립됩니다. 농담처럼 해도 상대가 무섭다고 느꼈다면 해당될 수 있습니다. - 조건 없는 말도 포함
→ “이번 주까지 안 하면 너 가만 안 둬.” 같은 말도 맥락에 따라 협박으로 판단될 수 있습니다.
🧾 실제 사례
- 직장 내 사례: 상사가 “다음에도 실수하면 회사에서 짤릴 줄 알아”라고 말한 경우, 지속적이고 강압적인 분위기가 있었다면 협박죄가 될 수 있습니다.
- 연인 간 사례: 이별 통보 후 “헤어지면 너 인생 망치겠다”고 말하면 연인 관계라도 협박죄가 성립됩니다.
- 온라인 사례: SNS나 문자로 “주소 알고 있으니 조심해” 같은 말을 보내면 사이버 협박죄로 처벌받을 수 있습니다.
🚔 협박을 당했을 때 대처 방법
- 증거 확보
문자, 카카오톡, 녹음, CCTV 영상 등 가능한 모든 증거를 확보하세요. - 경찰 신고
가까운 경찰서 또는 112에 신고합니다. 협박죄는 반의사불벌죄가 아니기 때문에, 피해자가 원하지 않아도 수사가 가능합니다. - 법률 상담 받기
변호사나 대한법률구조공단 등을 통해 법률적 조언을 받아 대응하는 것이 좋습니다.
⚠️ 나도 모르게 협박죄?
- “이거 안 하면 너 끝이야.”
- “친구들한테 네 비밀 다 말해버릴 거야.”
- “신고하면 집으로 찾아갈 거야.”
이런 말들이 감정적으로 나왔다 해도, 상대방이 두려움을 느꼈다면 협박죄로 간주될 수 있습니다. 말 한마디로 형사처벌까지 받을 수 있는 만큼, 분노 조절과 상황 대처는 신중해야 합니다.
📌 대법원 2010. 7. 15. 선고 2010도1017 판결
사건 개요
채권추심회사의 지사장이었던 피고인은 회사로부터 자신의 횡령행위에 대한 민·형사상 책임을 추궁당하자, 이를 모면하기 위해 회사 본사에 '회사의 내부비리 등을 관계 기관에 고발하겠다'는 취지의 서면을 보내고, 회사의 상무이사에게 전화를 걸어 같은 내용의 발언을 하였습니다.
판결 요지
대법원은 피고인의 이러한 행위가 상무이사 개인에게 공포심을 일으킬 수 있는 해악의 고지에 해당한다고 판단하여 협박죄를 인정하였습니다.
의의
이 판례는 직장 내에서의 협박이 단순한 감정 표현을 넘어 상대방에게 공포심을 유발할 경우, 협박죄로 인정될 수 있음을 보여줍니다.
✅ 마무리하며
협박죄는 단순히 말싸움이 아니라, 상대방에게 정신적 피해를 주는 심각한 범죄입니다.
상대의 감정을 존중하고, 감정적인 순간에도 법의 테두리를 벗어나지 않는 소통이 무엇보다 중요합니다.
🗨️ 혹시 비슷한 상황을 겪은 적이 있나요?
댓글로 여러분의 경험이나 궁금한 점을 나눠보세요.
법률 전문가가 직접 상담해주는 기관 정보도 함께 공유해드립니다.
'A'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강요죄란 무엇인가요? – 쉽게 정리한 강요죄 이야기 (0) | 2025.04.26 |
---|---|
일산 원당 대곡 엘로우 마운틴 카페 리뷰 아이랑 (0) | 2025.04.26 |
삼성역 코엑스 2025 월드IT쇼 화재 대비 불 위치 장소 (0) | 2025.04.25 |
📌 “임대사업자 월세 신고, 안 하면 큰일 납니다!” (1) | 2025.04.24 |
부동산 청약, 위장전입의 유혹… 하지만 그 대가는? (1) | 2025.04.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