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A

갑질 논란을 피하기 위해 조심해야 할 발주 실무 포인트

by 앤디코 2025. 4. 27.
반응형

 

1. 협력업체 선정 및 계약 과정의 "투명성" 확보

  • 협력업체 선정 기준을 명확히 하고, 그 기록을 남겨야 합니다.
  • 입찰 공고, 제안 요청서(RFP), 평가표 등을 통한 공식 절차를 갖추세요.
  • "특정 업체 밀어주기"나 "비공식 계약"은 분쟁 시 명백한 약점이 됩니다.

핵심 실무

  • 제안 요청 공문
  • 입찰 결과 회의록
  • 선정 사유 기록

2. 계약서에 갑을관계 균형 조항 삽입

  • "대금 지급 기한", "변경 요청 시 협의 절차", "계약 해지 요건"을 공정하게 설정합니다.
  • 일방적 변경권, 대금 지급 지연 조항 등은 삭제하거나 최소화해야 합니다.
  • 계약서는 실제 업무 프로세스를 반영해야지, 형식만 갖추면 의미 없습니다.

필수 계약 조항 예시

"발주자는 추가 작업 지시 시, 사전에 비용 및 납기 변경을 협의하고 서면으로 승인한다."


3. 단가 협의는 공사 시작 전에 완료

  • 공사나 납품이 시작된 뒤 단가를 인하하거나, 지급을 미루면 100% 갑질 이슈로 연결됩니다.
  • 최초 계약 시 모든 금액을 확정하고, 추가 요구는 별도 계약(addendum)으로 처리해야 합니다.

잘못된 사례

"일단 시작하세요. 나중에 단가 조정해드릴게요." → 분쟁 100% 발생


4. 업무 지시사항은 공식 경로로 통제

  • 담당자가 구두로 지시하거나, 카카오톡, 문자로 별도 요청하는 건 매우 위험합니다.
  • 공식 메일, 사내 시스템을 통한 지시만 허용해야 합니다.
  • 특히 "추가 작업 요청"은 문서화 없이 진행하면 나중에 대금 문제, 책임 문제로 터질 수 있습니다.

5. 대금 지급 및 하자보수 처리 기준 명확화

  • 대금은 계약서 기준에 맞춰 정해진 기한에 지급해야 합니다.
  • 하자보수도 무한책임이 아니라, 합리적인 범위와 기간을 정해야 합니다. (예: "인도일로부터 1년")

하자보수 관련 조항 예시

"하자보수 범위는 계약서에 명시된 사양 및 작업 범위 내로 한정한다. 보수 요청은 하자 발생 후 30일 이내에 서면으로 통보한다."


대기업 실무진이 가장 경계해야 할 사고방식

  • "우리 돈 주는 쪽이니까 뭐든 요구할 수 있어" → ❌
  • "우리가 클레임 걸면 중소업체는 꼼짝 못해" → ❌

이런 사고방식은 반드시 버려야 합니다.
공정거래위원회, 노동청, 법원은 이미 "대기업 책임 가중" 트렌드로 가고 있습니다.

▶️ 이제는 대기업도 "서면 근거 + 사전 협의 + 공정 절차" 없이는 방어하기 힘든 시대입니다.


✅ 요약

  • 투명한 선정
  • 공정한 계약
  • 단가 사전 확정
  • 공식 지시 체계
  • 대금/하자 명확 관리

이 5가지만 지키면 갑질 리스크는 80% 이상 줄일 수 있습니다.

 

발주자 체크리스트

1️⃣ 모든 약속은 "서면"으로 남긴다

  • 전화, 구두 지시 NO
  • 문자, 이메일, 카톡 캡처 YES
  • "기록이 곧 생명줄이다"

2️⃣ 계약서에 "추가 요청 처리" 규정 넣기

  • 계약 후 변경은 서면 합의 필수!
  • "구두 지시 → 추가 비용 발생"을 명문화

3️⃣ 정기적으로 "진행 보고서" 보내기

  • 주 1회든 월 2회든 OK
  • "진행 상황 + 요청사항 요약"을 문서화
  • 나중에 모든 책임공방에서 무기된다

4️⃣ 부당한 요구는 "공식 질의"로 받기

  • 그냥 거절하지 말고, 공식 질의서 작성
  • "귀사의 요청사항은 계약 범위를 초과합니다. 협의 요청드립니다."

5️⃣ '증거 패키지'를 항상 준비해두기

  • 계약서, 견적서, 메일 기록, 작업 일지
  • 대금 청구/지급 내역까지 한 폴더에 저장
  • 문제가 생기면 바로 대응!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