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실제 소송 사례로 보는 임대차 종료 후 원상복구 분쟁 요약 정리!
📌 왜 원상복구 공사가 문제 될까?
상가, 사무실, 점포를 빌려 쓸 때 ‘입주할 때 모습으로 돌려놓아야 한다’는 게 바로 **원상복구(원복공사)**입니다.
하지만 “어디까지가 원상복구인지”를 놓고 임대인과 임차인이 자주 다투게 되죠.
실제로 원상복구를 둘러싼 법적 분쟁은 매년 증가하고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실제 법원 판례를 통해 임차인이 주의할 점을 정리해 드립니다.
⚖ 실제 판례 요약 5선
사건명쟁점법원 판단
서울중앙지법 2018가단5002582 | 임차인 부분 복구 후 퇴거 | 계약서 상 복구 의무 인정, 일부 비용 임차인 부담 판결 |
수원지법 2020나50328 | 복구 기준 불명확 | 입주 전 사진·도면 없어 복구 범위 일부만 인정 |
부산지법 2019가소50339 | 인테리어 철거 요구 | 고급 인테리어라도 철거 의무 있음, 임대인 손 들어줌 |
서울남부지법 2017가소50016 | 마감 불량 책임 | 철거는 했지만 마감 불량은 임차인 책임으로 판단 |
대전지법 2016가단212 | 철거 중 화재 | 공사업체 과실이 크지만 임차인도 일부 책임 인정 |
✅ 임차인이 꼭 알아야 할 체크포인트
1. 계약서에 원상복구 조항이 있는지 확인
“입주 당시 상태로 복구”라는 문구가 있다면 대부분 인정됩니다.
2. 입주 당시 사진과 도면 확보는 필수
이 자료가 없으면 법원은 임대인의 주장에 더 무게를 둡니다.
3. 인테리어 비용이 많이 들었더라도…
내가 투자한 시설이더라도 철거해야 할 의무가 있습니다.
“가치를 올려줬다”는 논리는 거의 통하지 않아요.
4. 철거 후 마감 품질도 책임
헐기만 하면 끝이 아니라, 깔끔한 마감까지 포함이 원복입니다.
5. 공사업체 선정도 신중하게
공사 중 사고가 나면, 임차인도 공동 책임을 질 수 있음을 유의하세요.
💬 원복공사 분쟁을 피하는 팁
- 계약 전, 복구 범위·조건을 사진이나 문서로 명확히 기록
- 입주 직후 사진·영상 촬영 후 보관
- 철거 업체는 책임보험 가입 여부 확인 후 선정
- 임대인과 중간 점검 시 복구 범위에 대해 사전 합의 문서화
📎 마무리 요약
"원상복구는 단순 철거가 아니라, 법적으로도 ‘계약서에 따라 책임지는 민감한 절차’입니다."
임대차 계약이 끝나기 전에 미리 체크하고, 계약서에 복구 범위를 구체적으로 적어두세요.
사진·도면·서면 합의, 이 3가지를 챙기면 보증금도 지키고 분쟁도 피할 수 있습니다.
반응형
'A' 카테고리의 다른 글
원복공사, 아무 업체나 부르면 큰일 납니다 (0) | 2025.05.16 |
---|---|
원복공사, 보증금 지키는 실무 꿀팁! ~ 임차인이라면 꼭 알아야 할 실무 가이드 (0) | 2025.05.16 |
상가임대차 계약, 이거 안 보면 보증금 날립니다! (0) | 2025.05.16 |
원복공사 체크사항 총정리! 임대인과 분쟁 없는 깔끔한 마무리를 위한 가이드 (0) | 2025.05.15 |
허리 통증에 효과 있는 허리보호대, 착용 전 꼭 알아야 할 5가지 (0) | 2025.05.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