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A

원복공사 체크사항 총정리! 임대인과 분쟁 없는 깔끔한 마무리를 위한 가이드

by 앤디코 2025. 5. 15.
반응형

 원복공사(工事)란, 임대했던 공간을 계약 상태로 돌려놓는 작업을 말합니다.
특히 상가나 사무실, 스튜디오 등의 공간을 리모델링했을 경우, 퇴거 원상복구 공사를 하지 않으면 보증금 분쟁으로 이어질 있습니다.

 

 

 

원복공사 체크사항 7가지

1. 📃 계약서 확인이 최우선

  • 원상복구 조항 확인: 어떤 항목까지 복구해야 하는지 명시
  • 별도 특약사항 체크: 바닥, 벽체, 조명
  • 계약 당시 사진·도면이 있다면 함께 비교

2. 🧱 구조물 인테리어 철거

  • 가벽, 천장, 몰딩, 간판 임의 시공한 구조물 전부 철거
  • 칠/도배/타일/마루 마감재는 원상태로 복원
  • 파손 부위 수리 여부도 중요

3. 🔌 전기 통신 설비 점검

  • 조명, 콘센트, 인터넷 배선 철거 필요
  • 분전함, 배선, 스위치 노출 여부 확인
  • 누전·감전 위험 요소 제거

4. 🚰 설비 철거 (싱크대, 냉난방기 등)

  • 싱크대, 화장실, 급·배수 설비 원상복구
  • 에어컨 철거 천장 마감 여부 확인
  • 배관 흔적 누수 없는지 체크

5. 🧹 폐기물 처리 청소

  • 철거 잔해 분리수거 (생활 vs 건설 폐기물 구분)
  • 폐기물 처리비 미리 예산 반영
  • 바닥과 벽면 잔여물, 접착제 완벽 제거

6. 📸 전·사진 촬영 필수

  • 철거 전/비교를 위한 사진 보관
  • 임대인에게 복구 완료 확인서 받기
  • 사전 합의되지 않은 공정은 증빙자료 필요

7. 🔔 사전조율 관리자 통보

  • 관리사무소/건물주와 일정 조율
  • 소음/분진 발생 주변 민원 주의
  • 화재·소방설비 훼손 여부도 반드시 확인

 

자주 묻는 질문 (Q&A)

Q1. 원복공사는 해야 하나요?
계약서에 명시된 경우 필수입니다. 미이행 보증금 차감 또는 손해배상 청구 소지가 있습니다.

Q2. 직접 해도 되나요?
가능하나 전기·설비 전문 기술이 필요한 공정은 반드시 전문가에게 맡기는 것이 안전합니다.

Q3. 견적은 어떻게 받나요?
철거 범위에 따라 상이. 보통 3군데 이상 업체 비교 견적이 권장됩니다.

 

 

원복공사(원상복구) 관련 소송 이슈 사례 5가지

① [서울중앙지방법원 2018가단5002582]

쟁점: 임차인이 원상복구를 일부만 하고 퇴거한 경우
판결 요지:

  • 임대차 계약서에 ‘임대차 종료 원상복구’ 조항이 명시되어 있었음
  • 임차인은 일부 인테리어 자재와 구조물을 그대로 두고 퇴거
  • 임대인이 직접 철거 공사비용을 청구
    👉 법원은 임대인의 청구 일부 인용, 계약서 근거로 임차인에게 원상복구 비용 일부 부담 판결

② [수원지방법원 202050328]

쟁점: 원상복구 기준의 불명확성과 해석
내용:

  • 임차인은 “입주 당시 상태가 이미 인테리어 상태였다”주장
  • 임대인은 “최초 임대 당시 상태는 백지 상태였다”반박
  • 계약서에 구체적인 사진/기록이 없어 분쟁 발생
    👉 법원은 계약서의 애매함을 이유로 임차인의 일부 책임만 인정

🔎 시사점:
임대차 계약서에 입주 당시 상태를 사진이나 문서로 명확히 기록하는 것이 중요


③ [부산지방법원 2019가소50339]

쟁점: 임차인이 자비로 인테리어 공사에 대해 철거 요구가 부당하다고 주장
내용:

  • 임차인이 고급 자재로 인테리어한 상태
  • 임대인이 "원복 하면 보증금 반환 불가" 주장
  • 임차인은 “공간 가치가 올라갔기 때문에 철거는 비합리적”이라고 맞서
    👉 법원은 계약서 원상복구 의무를 명확히 인정, 철거비 부담은 임차인 책임

④ [서울남부지방법원 2017가소50016]

쟁점: 부분 철거 마감 불량으로 인한 추가 손해배상 청구
내용:

  • 철거는 했으나 콘크리트 면이 노출되고 마감이 부실
  • 임대인은 다음 임차인 입주에 차질이 생겼다며 영업손실까지 청구
    👉 법원은 마감불량은 임차인 책임이나, 영업손실 청구는 기각

⑤ [대전지방법원 2016가단212**]

쟁점: 원복공사 도중 화재 발생, 손해배상 책임 주체
내용:

  • 원상복구 작업 절단기로 인한 스파크 → 화재 발생
  • 임대인과 임차인, 철거업체 책임 공방
    👉 법원은 철거업체의 안전관리 소홀을 지적하며, 임차인은 연대 책임 일부만 부담

 

📌 정리: 원복공사 관련 소송에서 중요한 4가지 포인트

항목핵심 사항
계약서 내용 원상복구 조항의 명확성 (범위, 기준, 사진 등)
입주 당시 상태 기록 사진/동영상 증빙자료 확보
사전 협의 여부 임대인과 철거 범위·기준 합의 필수
안전 마감 품질 화재·사고 예방 깔끔한 마감 중요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