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A

형사법, 일반인이 꼭 알아야 할 핵심 포인트 7가지

by 앤디코 2025. 5. 3.
728x90
반응형

“나는 범죄와 상관없다”는 말, 정말 그럴까요?
생각보다 많은 사람들이 본인의 의도와 무관하게 형사절차에 연루되기도 하고, 단순한 실수나 오해로 인해 수사 대상이 되기도 합니다.
형사법은 우리 일상과 멀지 않습니다. 오늘은 꼭 알아야 할 형사법 핵심 포인트 7가지를 쉽게 정리해 드립니다.

 

 

 

 


1. ⚖️ 형사법이란?

형사법은 범죄를 저지른 사람에게 어떤 처벌을 내릴 것인지 정해 놓은 법입니다.
크게 형법(어떤 행동이 범죄인지와 형벌을 규정)과 형사소송법(수사와 재판 절차를 정함)으로 나뉩니다.


2. 🚨 경찰 조사 받을 때, 묵비권과 변호인의 조력

경찰서에 불려가면 긴장한 나머지 불리한 진술을 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누구든지 헌법상 **묵비권(말하지 않을 권리)**이 있고, 변호인의 도움을 받을 권리가 있습니다.

📌 Tip: 아무 말도 하지 않아도 범죄로 보지 않습니다. 변호사와 상담 후 진술해도 늦지 않습니다.


3. 🗣️ 자백만으로는 유죄가 되지 않는다?

맞습니다. 형사소송법 제310조의2에 따라, 자백이 유일한 증거인 경우 유죄 판결을 할 수 없습니다.
즉, 자백 외에도 **보강 증거(CCTV, 진술, 물증 등)**가 있어야 유죄가 가능합니다.


4. 👮‍♀️ 불법 체포·수색 시 증거는 무효

경찰이 영장 없이 집을 수색하거나, 체포를 정당한 절차 없이 했다면 그 과정에서 얻은 증거는 법정에서 쓸 수 없습니다.
이를 위법수집증거배제 법칙이라고 합니다.


5. 📄 고소와 고발의 차이

구분고소고발
의미 피해자가 범인을 신고 제3자가 범인을 신고
예시 폭행당한 본인이 고소 목격자가 신고
기간 일부 범죄는 6개월 내 고소해야 함(친고죄) 기간 제한 없음
 

6. 🔒 구속이란? 언제 될까?

구속은 도주나 증거인멸 우려가 있을 때 법원이 허가한 경우에만 가능합니다.
경찰이 마음대로 잡아둘 수 없고, 반드시 법원의 영장 발부가 있어야 합니다.

 


7. ⚖️ 벌금·집행유예·징역의 차이

구분의미
벌금 돈을 내는 형벌 (선고 즉시 형 확정)
집행유예 징역형 선고하되 일정 기간 잘 지내면 형 집행 안 함
징역 교도소에서 실제로 복역함
 

형사절차는 갑자기 찾아올 수 있습니다.
실수, 오해, 갈등 상황에서 침착하게 대처하기 위해서는 형사법에 대한 기본적인 이해가 꼭 필요합니다.

💡 변호사 없이 조사받지 않기!
묵비권은 권리!
불법 수사는 증거 능력 없음!

이 3가지만 기억해도 위기 상황에서 나를 지킬 수 있습니다.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