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기본 설정부터 시작하는 알고리즘 최적화
🔸 파일명과 제목, 썸네일의 삼위일체
영상의 파일명부터 신경 써야 합니다. 영상 제목과 유사한 키워드 중심 파일명을 설정해 유튜브 SEO 효과를 극대화하세요. 예를 들어 ‘인테리어 꿀팁’ 영상이라면 파일명을 interior_tips_small_space.mp4처럼 설정하는 것이 좋습니다.
제목은 영상의 핵심을 담되 궁금증을 유도하는 방식으로 작성해야 클릭률이 올라갑니다.
썸네일은 클릭을 유도하는 가장 강력한 무기이므로, A/B 테스트 기능을 활용해 가장 반응 좋은 이미지를 선택하세요.
🔸 설명란은 유튜브 알고리즘을 위한 금광
설명란은 단순히 정보 제공의 영역이 아닙니다. 키워드를 활용한 텍스트 기반 SEO, 링크 삽입을 통한 채널 내 체류 시간 연장, 콜투액션 유도 등 다양한 전략이 가능한 공간입니다.
특히 패디PD는 ChatGPT를 활용한 설명란 작성법을 제안합니다. 영상의 스크립트를 넣고, 타겟 시청자에 맞게 설명란을 작성해달라고 하면 훨씬 자연스럽고 풍성한 설명란을 만들 수 있습니다.
🔸 해시태그와 태그, 자동 챕터 설정
영상과 관련된 해시태그 3~5개는 검색에 유리한 요소입니다.
또한 유튜브 태그 기능을 적극적으로 활용해, 영상과 관련된 키워드를 10개 이상 넣어주세요. 이 기능의 영향력에 대한 논란은 있지만, 활용해볼 가치는 충분합니다.
패디PD는 자동 챕터 기능보다는 직접 타임스탬프를 입력하여 시청자의 이해도를 높이고, 영상 흐름을 명확히 전달하는 것을 선호합니다.
2. 시청자 유입을 유도하는 전략적 연결
🔸 재생목록과 최종화면 설정
업로드한 영상을 관련 재생목록에 추가하면 유튜브가 그 영상을 시리즈물처럼 인식하게 됩니다. 이는 시청 시간을 늘리고, 추천 영상에 내 콘텐츠가 더 자주 노출될 수 있게 도와줍니다.
영상 끝에는 최종화면 기능을 활용하세요. 패디PD는 “하나의 영상만 추천하는 게 가장 클릭률이 높다”고 강조합니다. 너무 많은 선택지는 오히려 선택을 망설이게 만들 수 있죠.
🔸 쇼츠 영상과 롱폼 콘텐츠의 연결
짧은 쇼츠 영상은 유입을 끌어오는 강력한 도구입니다. 쇼츠의 ‘관련 영상’ 설정에서 롱폼 영상을 연결하면, 짧은 주목을 받은 시청자가 장시간 콘텐츠로 유입될 가능성이 높아집니다.
이는 작은 유튜버에게 특히 유용한 전략으로, 적은 구독자 기반에서도 효과적인 시청자 확보가 가능합니다.
🔸 관련 링크 및 콜투액션
설명란에는 강의, 블로그, 인스타그램 등 외부 링크를 삽입할 수 있습니다. 영상 속에서 "더 많은 정보는 설명란 링크 참고"라는 콜투액션을 함께 넣으면 클릭률이 높아집니다.
또한, 다른 관련 영상이나 재생목록 링크도 추가해 채널 내 유입을 자연스럽게 유도하세요.
3. 업로드 후에도 끝나지 않는 관리의 기술
🔸 업로드 후 비공개 유지 전략
영상은 업로드 즉시 공개하기보다는, 2시간~24시간 정도 비공개나 일부 공개 상태로 유지하세요.
이 시간 동안 유튜브 알고리즘은 영상의 메타 정보를 분석하고, 어떤 시청자층에게 보여줄지 판단합니다. 이후 공개하면 더 정교한 타겟 노출이 가능해집니다.
🔸 서브 계정으로 초기 반응 만들기
업로드 후에는 서브 계정을 활용해 영상 전체를 처음부터 끝까지 시청하고, 댓글과 좋아요를 남기세요. 이후 본 계정에서 서브 계정의 댓글에 답글을 달면 댓글창이 활성화되고, 영상 반응이 좋은 콘텐츠로 인식될 가능성이 높아집니다.
단, 다른 브라우저 또는 **다른 네트워크 환경(IP)**을 사용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댓글 관리와 시청자 소통
작은 채널일수록 댓글 하나하나가 소중한 자산입니다. 부정적이든 긍정적이든 모든 댓글에 답변을 다는 것이 좋습니다. 이는 유튜브가 '이 영상은 활발한 커뮤니티가 있다'고 판단하게 만듭니다.
'A' 카테고리의 다른 글
환율 1,450원 돌파, 무슨 일이 벌어지고 있을까? (1) | 2025.04.09 |
---|---|
음료 한 캔 속 당류 22g, 건강에 어떤 영향을 줄까? (1) | 2025.04.09 |
우체국 택배박스 사이즈 완벽 정리! (2025년 최신판) (0) | 2025.04.09 |
2025년 육아휴직, 어떻게 달라졌을까? (0) | 2025.04.08 |
쿠첸 전기밥솥 폭발 사고, 남의 일이 아닙니다 (0) | 2022.05.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