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오송참사 대책 총정리] 지하차도 안전은 지금도 위험합니다

by 앤디코 2025. 7. 17.
반응형

🟥 오송참사, 우리는 잊지 않았습니다

2023년 7월 15일, 충북 청주 오송의 지하차도에서 14명의 소중한 생명이 한순간에 사라졌습니다. 집중호우로 인해 불과 몇 분 만에 물이 차오르면서 차량이 고립되었고, 구조 요청도 미처 도달하지 못한 채 비극이 발생했습니다.

이 사건은 단순한 자연재해가 아니라 **인재(人災)**였습니다.


 

🟦 감사원 발표로 드러난 충격적인 현실

2025년 7월, 감사원은 전국 지하차도에 대한 조사 결과를 발표했습니다.

  • 총 1,080곳 중 182곳이 침수 위험
  • 159곳은 침수 통제 기준조차 없음
  • 132곳은 진입 차단시설 미설치

이는 ‘제2의 오송참사’가 언제든 발생할 수 있음을 보여주는 경고입니다.

🔍 출처: KBS 뉴스


 

 

🟨 정부의 대응은? 근본적인 변화는 아직 부족

오송참사 이후 정부는 다음과 같은 대책을 발표했습니다.

기관대응 내용
행안부 홍수 통제 기준 전면 재정비, 실시간 관측 강화
국토부 지하차도 침수방지 시설 확대, 진입 차단장치 의무화
환경부 홍수 예보 지역 75곳 → 223곳 확대
 

또한, 이재명 대통령은 현장을 찾아 **“근본 대책 마련에 만전”**을 기하겠다고 밝혔습니다.

📌 출처: 충청투데이


 

 

🟩 유가족의 외침: 진상규명과 생명안전기본법 제정

7월 15일 2주기 추모문화제에서 유가족들은 “책임자는 여전히 사과조차 하지 않았다”며 눈물을 흘렸습니다.

  • 국정조사 요구
  • 생명안전기본법 제정 촉구
  • 분향소 강제 철거에 대한 항의

🔎 출처: 굿모닝충청

 


 

 

📢 함께 생각해 볼 질문

💬 “지금 우리 동네 지하차도는 안전할까?”
💬 “우리 아이가 지나는 길에 진입 차단 시설은 있을까?”

👉 이 글을 많은 분들과 공유해 주세요. 작은 관심이 더 큰 생명을 지킬 수 있습니다.


 

 

🧑‍⚖️ 형사 처벌받은 책임자


 

 

🏛️ 핵심 책임자는 누구인가?

  • 충북도지사 (김영환)
    유가족협의회와 일부 언론은 김영환 충북지사를 “최고 책임자”로 지목하고, 현행법상 제방과 하천 관리, 재난 대응의 최종 결정권자 역할을 수행했기 때문이라고 주장합니다. 노컷뉴스+3CJ일보+3CBI뉴스+3
  • 환경부 장관
    일부 공식 발언에서는 “제방 관리 책임자는 환경부 장관”이라는 지적도 나왔습니다. MBC NEWS+3조선일보+3굿모닝충청+3

 

 

🗣️ 유가족과 전문가의 요구

  • 유가족협의회는 “구속된 책임자 형량 외에도, **김영환 도지사 등 최고 책임자들에 대한 조사와 처벌이 이뤄져야 한다”고 계속 촉구 중입니다. CJ일보+1경향신문+1
  • 2주기 추모제에서도 “책임자 처벌이 피해 회복의 첫 단추”라는 목소리가 강하게 나왔습니다. MBC NEWS+2노컷뉴스+2경향신문+2

 

 

✅ 종합 정리


 

현장 책임자 공사 현장소장 징역 6년 확정 (항소심)
감리 책임자 감리단장 징역 4년 확정 (항소심)
정부·지자체 책임 김영환 충북도지사 등 유가족 요구 있음 – 아직 수사는 진행 중
행정 책임 환경부 장관 “제방 관리 책임자” 지적됨
 

 

🔍 시사점

  • 현재까지 실질적 형사처벌 대상은 공사 현장 책임자 및 감리단장, 그리고 일부 소방 관계자입니다.
  • 그러나 유가족과 시민 단체는 “구조적 문제 해결” 차원에서 지자체장, 행정기관 장관 등의 최고 책임자들에 대한 진상 규명과 법적 책임 추궁을 지속적으로 요구하고 있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