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A

대기업 내부거래, 어디까지 괜찮을까?- 규제 대상 한눈에 정리!

by 앤디코 2025. 5. 21.
반응형

내부거래 기준과 규제 대상 한눈에 정리!

최근 년간 뉴스에서 자주 보이는 단어, "대기업 내부거래"
삼성, 현대차, 롯데 재벌 그룹의 계열사 계약, 일감 몰아주기 등은
공정거래위원회의 핵심 감시 대상입니다.

그렇다면 도대체 내부거래란 무엇이고, 대기업은 어떤 기준에서 문제가 될까요?
오늘은 내부거래의 개념, 법적 기준, 규제 대상, 벌칙까지
번에 정리해드립니다.

 


 

내부거래란?

동일 기업집단(계열사) 발생하는 거래
즉, 모회사와 자회사, 형제 회사 상품, 용역, 자금 주고받는 계약입니다.

  • 📌 예:
    • A그룹 계열사 BC에게 인쇄물 제작 독점 발주
    • 자회사가 총수일가 회사에 고액 임대료 지불
    • 그룹 건설사에 공사 몰아주기

📌 법적 기준 – 언제부터 규제 대상?

공정거래법(공정거래에 관한 법률)공시대상 기업집단’
일정 요건에 해당하는 내부거래를 보고·공시 제한하고 있습니다.

구분기준 요약
공시대상 자산총액 5이상 기업집단 (일감 몰아주기 규제는 10이상)
규제 대상 총수일가가 지분 30% 이상 보유한 회사와의 거래
거래 금액 200이상 또는 연매출 대비 12% 이상이면 공시 의무
예외 정상적 거래, 경쟁입찰 투명성 확보 일부 제외
 

🚨 주의! 이런 내부거래는 규제 대상입니다

  1. 총수일가 회사에 일감 몰아주기
    • (예시) 광고물 제작, 경비 용역 독점 계약
  2. 시장 경쟁 없는 수의계약
    • 외부 입찰 없이 계열사에만 몰아주는 구조
  3. 지분율 높은 비상장사에 집중 발주
    • 총수 일가의 사익 편취 의심
  4. 불투명한 자금대여
    • 그룹 자금 순환, 담보 없이 대출

 

 

⚖️ 위반 처벌은?

  • 과징금 부과: 거래액 기준으로 수십억~수백억 가능
  • 형사처벌: 고의성 입증 총수·임원 형사 고발
  • 기업 이미지 훼손: ESG·공정성 논란으로 기업 신뢰도 하락
  • 정책제한: 공공입찰 제한, 정부지원 차단

 

 

📎 실제 사례로 보는 내부거래 논란

기업사례 요약결과
○○전자 총수일가 회사에 광고물 수의계약 과징금 140부과
△△그룹 계열사 건설사에 독점 수주 경영개선 권고, 공시 의무
◇◇유통 총수 일가 자회사에 매장 임대 사익편취 조사 착수

 

 

 

자주 묻는 질문 (FAQ)

Q. 내부거래 자체가 불법인가요?
아닙니다. 문제는 ‘투명성’과 ‘총수일가 사익편취’ 여부입니다.

Q. 비상장사도 규제 대상인가요?
총수일가 지분이 높고, 매출 규모가 기준을 넘으면 비상장사도 포함됩니다.

Q. 어떻게 하면 합법적인 내부거래가 되나요?
시장가격 준수, 공개입찰, 계약 내역 투명 공시 등이 중요합니다.

 


 

 

✍️ 마무리

요즘 같은 공정성 시대,
대기업 내부거래는 “합법”보다 “투명성”핵심입니다.

공시 대상 여부, 거래 규모, 총수 지분
기본 기준만 알고 있어도 불필요한 리스크를 피할 있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