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내부거래 기준과 규제 대상 한눈에 정리!
최근 몇 년간 뉴스에서 자주 보이는 단어, "대기업 내부거래"
삼성, 현대차, 롯데 등 재벌 그룹의 계열사 간 계약, 일감 몰아주기 등은
공정거래위원회의 핵심 감시 대상입니다.
그렇다면 도대체 내부거래란 무엇이고, 대기업은 어떤 기준에서 문제가 될까요?
오늘은 내부거래의 개념, 법적 기준, 규제 대상, 벌칙까지
한 번에 정리해드립니다.
✅ 내부거래란?
동일 기업집단(계열사) 간 발생하는 거래
즉, 모회사와 자회사, 형제 회사 간 상품, 용역, 자금 등을 주고받는 계약입니다.
- 📌 예:
- A그룹 계열사 B가 C에게 인쇄물 제작 독점 발주
- 자회사가 총수일가 회사에 고액 임대료 지불
- 그룹 내 건설사에 공사 몰아주기
📌 법적 기준 – 언제부터 규제 대상?
공정거래법(공정거래에 관한 법률)은 ‘공시대상 기업집단’ 중
일정 요건에 해당하는 내부거래를 보고·공시 및 제한하고 있습니다.
구분기준 요약
공시대상 | 자산총액 5조 원 이상 기업집단 (일감 몰아주기 규제는 10조 원 이상) |
규제 대상 | 총수일가가 지분 30% 이상 보유한 회사와의 거래 |
거래 금액 | 200억 원 이상 또는 연매출 대비 12% 이상이면 공시 의무 |
예외 | 정상적 거래, 경쟁입찰 등 투명성 확보 시 일부 제외 |
🚨 주의! 이런 내부거래는 규제 대상입니다
- 총수일가 회사에 일감 몰아주기
- (예시) 광고물 제작, 경비 용역 등 독점 계약
- 시장 경쟁 없는 수의계약
- 외부 입찰 없이 계열사에만 몰아주는 구조
- 지분율 높은 비상장사에 집중 발주
- 총수 일가의 사익 편취 의심
- 불투명한 자금대여
- 그룹 내 자금 순환, 담보 없이 대출
⚖️ 법 위반 시 처벌은?
- 과징금 부과: 거래액 기준으로 수십억~수백억 원 가능
- 형사처벌: 고의성 입증 시 총수·임원 형사 고발
- 기업 이미지 훼손: ESG·공정성 논란으로 기업 신뢰도 하락
- 정책제한: 공공입찰 제한, 정부지원 차단 등
📎 실제 사례로 보는 내부거래 논란
기업사례 요약결과
○○전자 | 총수일가 회사에 광고물 수의계약 | 과징금 140억 부과 |
△△그룹 | 계열사 건설사에 독점 수주 | 경영개선 권고, 공시 의무 |
◇◇유통 | 총수 일가 자회사에 매장 임대 | 사익편취 조사 착수 |
❓ 자주 묻는 질문 (FAQ)
Q. 내부거래 자체가 불법인가요?
→ 아닙니다. 문제는 ‘투명성’과 ‘총수일가 사익편취’ 여부입니다.
Q. 비상장사도 규제 대상인가요?
→ 총수일가 지분이 높고, 매출 규모가 기준을 넘으면 비상장사도 포함됩니다.
Q. 어떻게 하면 합법적인 내부거래가 되나요?
→ 시장가격 준수, 공개입찰, 계약 내역 투명 공시 등이 중요합니다.
✍️ 마무리
요즘 같은 공정성 시대,
대기업 내부거래는 “합법”보다 “투명성”이 핵심입니다.
공시 대상 여부, 거래 규모, 총수 지분 등
기본 기준만 알고 있어도 불필요한 리스크를 피할 수 있습니다.
반응형
'A' 카테고리의 다른 글
주주가 경영에 참여해도 될까?-주주의 권리, 경영참여 범위, 실전 사례까지 총정리! (0) | 2025.05.21 |
---|---|
인원감축? 구조조정?- 인사담당자가 꼭 알아야 할 구조조정 주의사항! (0) | 2025.05.20 |
회사가 나가달라는데… 권고사직일까? 해고일까? (0) | 2025.05.20 |
주주 경영참여 전 형사책임 위험 체크리스트 (사전 예방용) (0) | 2025.05.20 |
회사가 나가달라는데… 해고? 권고사직? 차이 확실하게 정리해드립니다! (0) | 2025.05.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