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A

블로그 글 쓰다 고소당한다고? 블로거 고소·고발 사례 총정리

by 앤디코 2025. 5. 13.
반응형

요즘 누구나 쉽게 블로그를 운영하고, 정보를 공유하고, 리뷰를 올리는 시대입니다. 하지만 ‘나의 글’이 ‘법의 심판대’오를 있다는 사실, 알고 계셨나요?

오늘은 실제 있었던 블로거 고소·고발 사례통해 우리가 반드시 알아야 온라인 법적 책임대해 정리해드립니다.

 


🧨 블로그 활동도 고소당할 있다?

네, 실제로 다음과 같은 이유로 블로거가 고소 또는 고발사례가 있습니다:

  • 타인에 대한 명예훼손
  • 허위사실 유포
  • 저작권 침해
  • 개인정보 유출
  • 업체 또는 개인에 대한 악의적 리뷰

 

 

 

📌 실제 블로거 고소·고발 사례

1. 리뷰 줄로 고소당한 주부 블로거

음식점을 방문한 블로거가 “불친절하고 음식이 상했다”리뷰를 올렸습니다. 이에 업주는 명예훼손 혐의로 블로거를 고소했으며, 결국 법원은 사실 여부와 표현 수위따라 일부 손해배상 책임을 인정했습니다.

핵심 포인트: 사실이어도 표현이 과하면 문제 있음!


2. ‘복사글’ 올린 블로거 7무더기 고소

블로거가 이혼 소송 남편을 비난하는 글을 올렸고, 다른 블로거들이 해당 글을 그대로 복사해 공유했습니다. 결국 당사자인 남편이 글을 퍼나른 블로거들까지 명예훼손으로 고소사례입니다.

핵심 포인트: 복사/공유도 책임질 있다!


3. 정치인 관련 허위사실 유포

정치인 A관련 허위사실(소년원 출신, 횡령 등)블로그에 반복적으로 게시한 사례에서, 블로거 본인이 직접 허위임을 알고 있었는지 여부쟁점이 되었고, 결국 벌금형을 선고받았습니다.

핵심 포인트: 공익 목적이라 해도 허위는 ‘NO’


 

⚠️ 이런 글, 위험합니다

  • “○○○사기꾼입니다” → 명예훼손 소지
  • 제품 먹고 걸렸어요” → 과장된 허위사실 유포
  • 내가 직접 겪은 사실이니까 괜찮아” → 사실이어도 공개 범위와 표현따라 문제됨
  • 무단 이미지 삽입, 기사 전문 복사 → 저작권 침해

 

 

블로거가 지켜야 5가지 법률 체크리스트


사실 여부 확인 신뢰할 있는 출처인지 확인하고 링크 남기기
표현 조절 감정적 언어는 지양하고 객관적으로 서술
비방 목적 지양 공익 목적이 아니라면 표현 줄이기
타인 정보 보호 얼굴, 실명, 주소 개인정보 절대 NO
이미지·자료 출처 표시 무단 사용 금지, 저작권 있는 자료는 링크 또는 인용 처리
 

 

 

💬 법률과 책임

블로그는 표현의 자유가 보장된 공간이지만, 표현에는 법적 책임이 따릅니다.
잘못된 정보, 과도한 비방, 무단 인용은 명예훼손, 저작권법 위반, 허위사실 유포로 이어질 있으니 각별히 주의해야 합니다.

 

 

1. 🧑‍⚖️ 타인에 대한 명예훼손

적용 법률:

  • 형법 307조 (명예훼손죄)
  • 정보통신망 이용촉진 정보보호 등에 관한 법률 70

위반 요건:

  • 사실 또는 허위의 내용을 유포하여
  • 공공연하게 (불특정 다수가 있게)
  • 타인의 사회적 평가저하시킨 경우

처벌:

구분형량
사실 적시 명예훼손 2이하 징역 또는 5백만 이하 벌금
허위 사실 명예훼손 5이하 징역 또는 1천만 이하 벌금
 

단순히 사실이어도 공익 목적이 아닐 경우 형사처벌 대상입니다.


2. ❌ 허위사실 유포

적용 법률:

  • 형법 3072항 (허위사실에 의한 명예훼손)
  • 공직선거법 250조, 251
  • 정보통신망법 702

위반 요건:

  • 허위 내용을 알고도 퍼뜨린 경우
  • 특정인을 비방하거나 불이익을 주려는 의도가 있을 경우

처벌:

  • 5이하 징역 또는 1천만 이하 벌금
  • 선거 기간 허위사실 유포는 무겁게 처벌 (최대 7이하 징역)

3. 🖼 저작권 침해

적용 법률:

  • 저작권법 136

위반 요건:

  • 타인의 창작물을 허락 없이 복제, 전송, 배포, 공연, 전시한 경우
  • 사진, 영상, 음악, 텍스트 포함

처벌:

  • 5이하 징역 또는 5천만 이하 벌금
  • 손해배상(민사)까지 병행될 있음
    특히 상업적 이용 더욱 무겁게 처벌됨

4. 🔒 개인정보 유출

적용 법률:

  • 개인정보보호법 71
  • 형법 316조(비밀침해죄)

위반 요건:

  • 타인의 성명, 연락처, 사진, 영상, 위치정보 등을 동의 없이 공개 또는 유출
  • 댓글/리뷰에 타인의 실명 언급 등도 해당될 있음

처벌:

  • 5이하 징역 또는 5천만 이하 벌금
  • 민사상 손해배상 청구 가능

5. 🗣 업체 또는 개인에 대한 악의적 리뷰

적용 법률:

  • 형법 307조(명예훼손), 311조(모욕죄)
  • 정보통신망법 70
  • 표시·광고의 공정화에 관한 법률 (부정한 광고)

위반 요건:

  • 근거 없는 악성리뷰, 별점테러
  • 허위사실 기반의 평가
  • "사기 업체", "먹고 났다" 자극적이고 단정적 표현

처벌:

  • 명예훼손 또는 허위사실 유포로 형사처벌
  • 민사상 손해배상 청구 가능
    사업체는 “법인 명예”보호받을 있음

블로거나 SNS 운영자라면 이렇게 하세요!

해야 할 일설명
표현 사실 확인 확실한 자료나 본인 경험에 기반한 작성
표현 수위 조절 "불친절했다"보다는 "아쉽게 느껴졌다" 완화된 표현
이미지·영상 출처 표시 무단 사용 금지, 인용 출처 명확히
실명/얼굴 모자이크 타인의 얼굴이나 정보는 익명 처리 필수
비방이 아닌 후기 중심 공유 목적’이어야 법적으로 보호받을 있음
 
#블로거고소 #명예훼손사례 #리뷰고소주의 #허위사실유포 #저작권침해주의 #블로그운영팁 #표현의자유와책임 #인터넷법률상식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