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요즘 물가가 오르면서 기초생활수급자분들의 생계 부담이 커지고 있습니다.
2025년에는 정부의 기준중위소득이 인상되며 생계급여, 주거급여, 의료급여 등 복지 혜택도 함께 조정되었습니다.
오늘은 **‘기초수급자 실제 수령액’**이 얼마인지, 그리고 어떤 항목으로 구성되는지 알아보겠습니다.
💡 1. 기초생활보장제도란?
기초생활보장제도는 소득인정액이 기준 중위소득 이하인 저소득층에게
생계, 의료, 주거, 교육 등의 급여를 지급하는 제도입니다.
가구원 수와 소득, 재산에 따라 지원 금액이 달라집니다.
💰 2. 2025년 생계급여 기준
👉 예를 들어 1인 가구의 소득인정액이 150,000원이라면
765,000 - 150,000 = 615,000원을 실제로 받게 됩니다.
🏠 3. 주거급여는 지역마다 다르다
주거급여는 임차료를 기준으로 서울·광역시·기타지역에 따라 달라집니다.
- 서울 1인 가구: 최대 약 370,000원
- 광역시: 약 310,000원
- 농어촌: 약 240,000원 수준
🏥 4. 의료급여 지원 내용
의료급여는 병원비를 대신 지원해주는 제도로, 본인 부담금이 매우 적습니다.
- 1종 수급자: 입원·외래 모두 0~1천원
- 2종 수급자: 외래 1,000~2,000원 수준
📚 5. 교육급여
초중고 학생이 있는 가정은 교육비도 지원받습니다.
- 초등학생: 약 340,000원
- 중학생: 약 470,000원
- 고등학생: 약 570,000원
✅ 결론
2025년 기초수급자의 실제 수령액은
1인 기준 약 60~70만 원 수준,
가구가 늘수록 최대 200만 원 이상까지 받을 수 있습니다.
단, 소득인정액이 기준에 포함되므로 개인별 편차가 크며,
주거·의료·교육급여를 합산하면 총 수령액은 훨씬 커질 수 있습니다.
728x90
반응형
'건강'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5년 손주 아이 돌봄 복지제도 총정리 (0) | 2025.10.04 |
---|---|
백혈병 초기증상|꼭 알아야 할 신호와 조기 진단의 중요성 (0) | 2025.09.30 |
세로토닌: 행복 호르몬의 비밀 (1) | 2025.09.26 |
요양병원 비용, 얼마나 들까? (1) | 2025.09.25 |
한국 사망원인 1위는? 연령별 변화와 분석 (0) | 2025.09.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