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일상

삶의 지혜로 읽는 니체의 말 (신성권지음)

by 앤디코 2025. 8. 31.
반응형

 

고통의 원인은 욕망이다. 인간은 욕망덩어리이다. 인간이 고통을 겪는 원인은 인간의 높은 지능때문이다.

지능이 발달한 동물일수록 고뇌에 대한 감각이 가장 예리하다

 

 

쇼펜하우어는 고통과 고뇌는 모든 인간의 운명이라고 말했다

 

"인생은 의미없다. 그러므로 태어나지 않는 것이 최선이고, 태어났다면 빨리 죽는것이 차선이다"

 

불안을 해소하는 유일한 방법은 불안과 직접 마주하는 것이다.

용기란 불안이라는 감정을 전제하는 단어이기 때문이다

 

미래를 예측하는 가장 확실한 방법은 당신이 미래를 직접 창조하는것이다

 

니체는 너 자신을 극복하라, 네 운명을 사랑하라

 

삶의 지혜로 읽는 니체의 말 (신성권지음)

 

🌑 쇼펜하우어 (Arthur Schopenhauer, 1788~1860)

  • 철학 핵심: 세계는 “맹목적인 의지(Wille)”에 의해 움직인다.
  • 인간의 삶은 끝없는 욕망과 고통의 반복이며, 행복은 일시적이다.
  • 구원 방법: 욕망을 최소화하고, 금욕·예술·연민을 통해 고통에서 벗어날 수 있다고 보았다.
  • 불교, 힌두 철학과 닮은 비관주의적 세계관을 제시.

🌄 니체 (Friedrich Nietzsche, 1844~1900)

  • 젊은 시절 쇼펜하우어 철학에 큰 영향을 받음.
  • 그러나 이후 비관주의를 극복하려고 함.
  • 철학 핵심:
    • “신은 죽었다(Gott ist tot).” → 전통 종교·도덕의 붕괴 선언
    • 삶의 고통을 부정하지 않고, 오히려 긍정하는 “운명애(Amor Fati)”
    • 이상적 인간상으로 초인(Übermensch) 개념 제시
  • 쇼펜하우어가 삶을 부정했다면, 니체는 삶을 “의지와 힘”으로 적극적으로 긍정하려 했음.

🔄 두 사람의 관계

  • 영향: 니체는 쇼펜하우어의 “의지 철학”에서 출발.
  • 차이:
    • 쇼펜하우어 = “삶은 고통 → 욕망을 끊어야 한다.”
    • 니체 = “삶은 고통 → 그 고통까지 끌어안아 긍정해야 한다.”
  • 즉, 같은 문제의식(삶의 고통)에서 출발했지만, 해결 방향은 정반대.

✅ 정리

  • 쇼펜하우어: 비관주의, 의지 = 고통의 근원, 욕망 포기·초탈 강조
  • 니체: 삶 긍정주의, 의지 = 힘과 창조의 원천, 고통까지 긍정
반응형